Author : 이주헌변호사 / Date : 2015. 7. 22. 16:53 / Category : 부동산/부동산거래-사해행위취소
사해행위취소소송과 사해행위
사해행위란 채권자가 채무자의 재산을 강제로 취하려고 하였을 때 채무자가 본인의 재산을 손괴를 하거나 제3자에 증여하는 방법을 통하여 채권자가 채무자의 재산을 줄이려는 의도로 채무자의 재산을 강제로 집행하는 것에 대하여 어렵게 만드는 것을 말하는데요.
오늘 이 시간에는 사해행위취소소송과 사해행위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사해행위취소소송이 가능한지에 대해 사례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사해행위 취소란 것은 채무자가 채권자의 재산을 의도적으로 해하려는 사해행위에 대하여 채권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사해행위를 취소를 할 수 있는 것을 말하는데요. 채무자의 이런 사해행위로부터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서 법원에 사해행위 취소를 청구하는 것입니다.
사해행위 취소소송은 소를 제기하는 것으로 이뤄지며 취소소송의 제기기간은 채권자가 취소원인을 안 날로부터 1년이고 법률행위가 있은 날부터 5년 이내에 제기를 해야 합니다.
사해행위 취소를 하려면 사해행위에 대해 알려드린 것처럼 채무자가 채권자의 재산을 해하려는 의도가 있어야 가능한데요. 즉 사해행위로 인하여 채권자에게 불이익이 된다는 것을 인지한 상태에서 한 것이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사해행위 취소소송과 관하여 부부 사이에서 한 쪽이 다른 상대방의 재산분할청구권 행사를 알면서도 부동산을 처분하는 등의 사해행위를 하였을 경우에는 민법에 의해서 그 사해행위를 취소하고 원상회복을 가정법원에 청구할 수가 있습니다. 이처럼 사해행위 취소를 통해 재산분할 청구권을 보전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이주헌변호사와 함께 사해행위취소소송과 사해행위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사해행위는 채권자가 채무자의 재산을 줄이려는 의도로 채무자의 재산을 강제로 집행하는 것에 대해 어렵게 만드는 행위이며 사해행위 최소소송은 채권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만약 사해행위를 당하였을 경우 사해행위 취소소송을 통해 재산을 보호할 수 있으니 이주헌변호사와 같은 법률가에게 법적 자문을 통한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상속변호사 부동산 상속세는 (0) | 2015.07.29 |
---|---|
명의신탁 사해행위 사해행위변호사 (0) | 2015.07.24 |
부동산변호사, 소유권이전등기란 (0) | 2015.07.09 |
유류분제도란? (2) | 2015.07.07 |
부동산 경매등기 질의응답 (0) | 2015.07.02 |
광고책임변호사:이주헌 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