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 이주헌변호사 / Date : 2019. 2. 18. 19:41 / Category : 부동산/종중-명의신탁
명의수탁부동산 처분했다면 횡령혐의성립
부동산을 명의수탁한 자가 동의를 구하지 않은 채 근저당권 설정 후 해당 부동산을 처분한 경우 근저당 설정 행위와는 별개로 횡령혐의성립 된다는 판결이 있었습니다.
종전 판례에 따르면 명의수탁부동산에 근저당권 설정 시 횡령죄가 성립하며, 나중에 매각한 행위는 처벌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는데요. 위 대법원 판결이 나옴으로써 이러한 종전 판례는 변경되었습니다. 어떤 상황인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A씨는 종중 총무라는 지위로서 B종중 소유 일대 토지를 보관을 하고 있었는데, 얼마 뒤 A씨는 해당 토지에 채권 최고액 1천4백만 원, 750만 원의 근저당권을 각각 설정했습니다. 그리고 A씨는 해당 부동산을 2억 원에 달하는 금액에 매각하였고, 결국 기소되고 맙니다.
재판을 받게 된 A씨는 명의수탁부동산에 근저당권 설정 후 처분한 행위는 횡령혐의성립이 이미 되고서 난 다음의 처분행위이기 때문에 처벌할 수 없는 사안이람녀 불가벌적 사후행위임을 주장했습니다.
그렇지만 1, 2심은 A씨에게 5백만 원의 벌금형을 선고하였는데요. 이에 대해 대법원은 과연 어떤 판결을 내렸을까요?
대법원 역시 앞선 1, 2심의 입장을 따르며, 명의수탁부동산에 근저당권 설정 후 매도한 경우 별개의 횡령죄가 성립함에 따라 새로운 법익침해가 발생한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나중에 이루어진 처분행위는 기존에 성립했던 횡령죄에 포함되는 걸 뛰어 넘어 처분 행위로 예상될 수 없었던 새로운 위험을 추가한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이었죠. 즉, 대법원은 위 상황에 대해 법익침해에 대한 위험을 증가시킨 것 내지는 먼저 발생된 처분행위와는 관련이 없는 상태로 법익 침해의 결과를 발생시켰다면 이미 성립된 횡령죄에 의해 평가된 위험의 범위를 넘어 선 것으로 별개의 횡령죄를 구성한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덧붙여 대법원은 다른 사람의 부동산을 보관하고 있던 사람이 불법영득의사를 가진 명의수탁부동산에 근저당권설정등기를 경료함으로써 한 번 횡령죄가 성립했어도 나중에 부동산을 처분함으로써 먼젓번 근저당권과 무관하게 법익침해의 결과를 발생시켰다면, 임의경매 등에 따른 근저당권 실행으로 인해 예상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 선 것이기 때문에 별개의 횡령죄가 성립된다고 판시했습니다.
이상, 명의수탁부동산에 근저당권을 설정한 후 처분한 경우 이미 성립된 횡령죄와는 별개로 새로운 횡령죄가 성립된다는 대법원의 판결을 살펴보았습니다. 관련 사건으로 인해 곤경에 빠졌다면 침착하게 객관적 입증 자료를 마련해 어려운 상황을 타개해 나가시기 바랍니다.
부동산소송전문변호사 명의신탁 토지 소유권 (0) | 2019.06.11 |
---|---|
종중소송변호사 문제에 대한 해답을 (0) | 2019.04.12 |
종중재산분배 남녀차별은 무효 (0) | 2018.12.20 |
종중소유토지분쟁 고민 해결을 위해 (0) | 2018.10.02 |
명의신탁사해행위 로 인한 고민은 (0) | 2018.09.17 |
광고책임변호사:이주헌 변호사